본문 바로가기

신문스크랩

지난해 노조 조합원 273만7000명·조직률 13%…제1노조는 한국노총

작성일

본문

지난해 노동조합 조직률이 13.0%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의 13.1%에서 0.1%포인트(p) 감소한 수치다.


고용노동부는 1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조합원 수는 273만 7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 5000명(0.5%) 증가했다. 2021년 293만 3000명으로 지난 10년간 최대였다가 2022년 270만명대로 줄었다. 


노동조합 조직률은 근로자 수가 32만명(1.5%) 증가함에 따라 전년 대비 0.1%p 감소해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노조 조직률은 경제활동을 하는 임금근로자 수에서 전체 조합원 수를 나눠 계산한다.


총연합단체별 조합원 수는 한국노총 116만명, 민주노총 108만6000명, 미가맹 47만9000명 순이다.


조직 형태별 조합원 수는 초기업노조 소속이 162만5000명(59.4%), 기업별노조 소속이 111만2000명(40.6%)으로 나타났다.


기업별 노조는 특정한 기업에 소속된 근로자가 구성원인 노동조합이다. 초기업별 노조는 소속 기업에 관계없이 같은 지역, 업종, 산업 단위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구성원인 노동조합을 말한다.


부문별 노동조합 조직률은 민간부문 9.8%, 공공부문 71.6%, 공무원부문 66.6%, 교원부문 31.4%이다. 사업장 규모별 조직률은 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이 36.8%, 100~299명 5.6%, 30~99명 1.3%, 30명 미만 0.1%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사업장 규모별 노조 조직률은 사업장 규모가 확인되는 기업별 노조 중심으로 집계된 것이고, 전체노조 대상 통계가 아니므로 추세 비교 등 한정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조합 규모별로는 30명 미만이 2455개(39.8%)로 가장 많다. 30~99명이 1742개(28.2%), 100~299명이 1086개(17.6%), 300명 이상이 886개(14.4%) 순이었다.


고용부에 따르면 전국노조 조직현황은 노동조합법에 따라 설립 신고된 노동조합이 같은 법 제13조에 따라 행정관청에 신고한 2023년 말 기준 현황자료를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집계·분석한 결과다. 노조가 신고한 조합원 수를 기준으로 조합원 수, 조직률 등 주요 현황이 산정됐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894


한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역사

노사상생의 깃발아래 모인 연맹의 발자취

노사의 상생과 공존을 위해 노력하는 연맹의 역사를 확인하세요.

자세히 보기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대한민국 국회
한국연합플랜트노동조합
한국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
GS건설노동조합
쌍용건설노동조합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노조
현대아이파크노동조합
한국건설전기노동조합
전국연합건설노동조합
한국산업건설노동조합
국민신문고
건설근로자공제회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대한민국 국회
한국연합플랜트노동조합
한국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
GS건설노동조합
쌍용건설노동조합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노조
현대아이파크노동조합
한국건설전기노동조합
전국연합건설노동조합
한국산업건설노동조합
국민신문고
건설근로자공제회